Spring45 #1 인터넷 네트워크 인터넷 네트워크 1. 인터넷 통신과 IP 인터넷을 통해 우리는 데이터를 보내고(request) 그에 따른 응답(respone)을 받는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인터넷 통신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인터넷에서는 무엇을 기준으로 어떻게 정보를 주고 받을까? 인터넷에서는 지정한 IP(인터넷 프로토콜)에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 한다. [패킷 구성] 위와 같이 패킷은 전송될 데이터와 IP주소에 대한 정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IP 패킷 방식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갖고있다. · 비연결성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 · 비신뢰성 중간에 패킷이 사라지거나 순서대로 오지않을 경우를 보장할 방법이 없다. · 프로그램 구분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 2021. 6. 14. #8 빈 스코프 빈 스코프 1. 빈 스코프란? 빈 스코프란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뜻한다. 스프링은 싱글톤, 프로토타입, 웹 관련 등 다양한 스코프를 지원한다. 빈 스코프는 다음과 같이 지정할 수 있다. [컴포넌트 스캔 자동 등록] @Scope("prototype") @Component public class HelloBean {} [수동 등록] @Scope("prototype") @Bean PrototypeBean HelloBean() { return new HelloBean(); } 2. 프로토타입 스코프 싱글톤 스코프의 빈은 조회하면 컨테이너는 항상 같은 인스턴스의 스프링 빈을 반환한다. 반면에 프로토타입 스코프를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조회하면 스프링 컨테이너는 항상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반환한다. 프로토.. 2021. 6. 14. #7 빈 생명주기 콜백 빈 생명주기 콜백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네트워크 소켓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려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 필요하다. 스프링에서는 이러한 초기화와 종료 작업을 빈 생명주기 콜백을 이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한다. 1. 스프링 빈의 생명주기 스프링 빈은 객체를 생성하고,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되면 스프링 빈에게 콜백 메서드를 통해서 초기화 시점을 알려주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스프링은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되기 직전에 소멸 콜백을 준다. ■ 스프링 빈의 이벤트 라이플 사이클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 스프링 빈 생성 -> 의존관계 주입 -> 초기화 콜백 -> 사용 ->소멸전 콜백 -> 스프링 .. 2021. 6. 10. #6 의존관계 자동 주입 의존관계 자동 주입 1.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생성자 주입 예시] @Component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Autowired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 말 그대로 생성자.. 2021. 5. 18.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